수능 국어 기출/21학년도 수능 국어

수능 국어 21학년도_21~25_정답 및 해설

bluecolor 2021. 2. 7. 18:36
728x90

21. 단어 사용의 적절성 파악

정답 해설 : ‘한정되다’는 ‘수량이나 범위 따위가 제한되어 정해지다.’라는 뜻을 지닌 단어이다. ‘그치다’는 ‘더 이상의 진전이 없이 어떤 상태에 머무르다.’라는 뜻을 지닌 단어이므로 문맥상 ⓒ는 ‘그치지’로 바꿔 쓸 수 있다. 정답 ③

 

[오답 피하기] ① ‘보존되다’는 ‘잘 보호되고 간수되어 남겨지다.’라는 뜻을 지닌 단어 이다. 따라서 ‘드러난’은 문맥상 ⓐ와 바꿔 쓰기에 적절하지 않다. ② ‘도외시하다’는 ‘상관하지 아니하거나 무시하다.’라는 뜻을 지닌 단어이다. 따라서 ‘생각하지’는 문맥상 ⓑ와 바꿔 쓰기에 적절하지 않다. ④ ‘자극하다’는 ‘외부에서 작용을 주어 감각이 나 마음에 반응이 일어나게 하다.’라는 뜻을 지닌 단어이다. 따라서 ‘따라갔다’는 문맥 상 ⓓ와 바꿔 쓰기에 적절하지 않다. ⑤ ‘성행하다’는 ‘매우 성하게 유행하다.’라는 뜻 을 지닌 단어이다. 따라서 ‘일어났다’는 문맥상 ⓔ와 바꿔 쓰기에 적절하지 않다

 

[22-25] 현대 소설 - 서영은, ‘사막을 건너는 법’

지문 해설 : 이 작품은 베트남전에서 귀환한 ‘나’가 현실에 적응해 가는 과정을 드러 낸 이야기로, 삶이 허무하다고 인식하던 주인공의 인식 변화를 그려냄으로써 삶의 허 무를 극복하는 인간의 노력을 효과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전쟁을 통해 죽음은 별것 아닌 것이고 삶은 무상한 것이라고 느끼게 된 ‘나’는 의욕적인 태도로 살아가는 노인 을 보며 노인에게 삶이 허무하다는 것을 알려주리라 결심한다. ‘나’는 의도적으로 노 인에게 접근하여 자신이 뜻한 바를 이루고자 했지만, 오히려 노인이야말로 삶의 허무 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알고 있고 그것을 스스로 극복하고 있는 인물이었음을 알게 된 다. 고달프고 충격적인 삶의 사건들을 견뎌내는 노인의 방법을 뒤늦게나마 알아차린 ‘나’는 삶을 허무하다고 여기고 그것을 타인에게 주입하고자 한 자신이 얼마나 어리석 었는지 깨닫게 된다. 이 작품은 인생이라는 사막을 건너고 있는 ‘나’와 노인의 삶의 방식의 차이를 통해 주어진 인생을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성찰하게 해 준다. [주제] 삶에서 느끼는 허무와 이를 극복해 내려는 인간의 노력

 

22. 서술상의 특징 파악

정답 해설 : [A]는 ‘나’가 베트남에서 겪은 과거의 일을 나미에게 들려주는 부분의 일 부로, ‘말했어’, ‘고장났지’, ‘트더군’, ‘싶더군’, ‘문제였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구어 체의 종결 어미를 사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나’가 경험한 사실을 생생하게 나타내고 있다. 한편 [B]에는 ‘나’가 노인의 모습을 관찰하는 상황이 드러나 있는데, ‘~ 눈에 잡 힌다’, ‘~ 짐을 내린다’, ‘~ 있을 곳에 놓여진다’ 등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현재 시제 를 활용하여 ‘나’가 보는 사실을 생생하게 나타내고 있다. 정답 ②

 

[오답 피하기] ① [A]는 ‘나’의 회상에 의한 부분이며, [B]는 시간 순서대로 사건이 서 술되고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A]는 ‘나’가 당시 자신의 경험과 판단을 스스로 전달 하는 내용이고, [B]는 ‘믿어지지 않는다’와 같이 서술자가 주관적 정서를 담아 서술하 고 있으므로 인물들이 처한 상황을 객관적으로 전달하고 있다는 설명은 적절하지 않 다. ③ [A]에는 인물들이 차를 타고 이동하는 공간 이동 상황이 제시되어 있기는 하 나, 탑승한 두 인물은 공동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을 뿐이지 외적 갈등을 보이고 있지 는 않다. [B]는 노인의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서술하고 있을 뿐 공간에 대해 특별히 묘사하고 있지 않으며, 인물들의 외적 갈등 또한 드러나 있지 않다. ④ [A]는 한병장 과 ‘나’의 대화를 삽입하고 있지만, 삽입된 대화가 갈등을 해소하는 과정을 보여 주는 것은 아니다. 두 사람은 무서움, 결혼 등에 대한 생각을 나누고 있을 뿐이다. [B]는 ‘나’의 눈에 비친 노인의 행동을 제시할 뿐, 갈등 해소 과정을 보여 주고 있지는 않 다. ⑤ [A]에 중심인물인 ‘나’의 말이 제시되고 있긴 하지만, 그 말은 같은 공간에 있 는 다른 인물과 각자의 감회나 기대에 관해 나눈 일상적인 대화일 뿐 사건의 인과 관 계를 드러내는 것은 아니다. 한편 [B]에는 주변 인물의 말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23. 작품의 내용 이해

정답 해설 : ‘나’는 전선(베트남)에서 집으로 돌아온 이후에 주변의 모든 사물, 모든 사람들로부터 차단된 느낌을 품은 채, 그것들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것에 대한 그 어 떤 흥미나 관심도 갖지 못하고 있다. ‘나’는 이렇듯 삶을 권태롭고 짜증스럽게만 느끼 며 살아가고 있는 중에, 며칠 전 다방에서 나미를 만나 자신이 겪었던 이야기를 들려 주었다. 정답 ①

 

[오답 피하기] ② ‘나’가 D 고지로 향하는 중 음료수가 떨어져서 곤란함을 겪은 것이 아니라, 음료수가 떨어져서 곤란을 겪고 있는 D 고지의 연대원에게 물을 실어다 주는 임무를 수행한 것이다. ③ ‘나’는 적의 정찰 비행에 발견되어 공격을 받은 것이 아니 라, 엔진이 고장난 상태에서 동이 터 오자 날이 밝으면 적의 정찰 비행에 발견되어 공중 사격을 받을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을 뿐이다. ④ 결혼 계획을 밝히 며 제대 이후의 삶을 언급한 것은 한병장이다. ⑤ ‘그러나 이해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라는 표현을 통해 ‘나’가 전선에서 귀환한 후 자신의 긴장감을 이해해 주는 사람을 만나지 못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24. 인물의 심리, 태도 파악

정답 해설 : ‘나’는 오늘도 노인이 나타나 그토록 진지한 얼굴로 잃어버린 ‘물건’을 찾 을 것인지에 대한 의문을 제시하고 ‘대체로 그렇게 하지 못할 것’이라고 예상한다. 하 지만 공터에 나타난 노인은 어제와 거의 같은 장소에서 정체를 알 수 없는 ‘물건’을 찾는 행동을 변함없이 계속하여 ‘나’를 놀라게 한다. 그러므로 ‘나’가 ‘노인’이 변화된 모습을 통해 ‘물건’을 찾는 노인의 행위가 중단될 것임을 예감했다는 진술은 적절하지 않다. 정답 ①

 

[오답 피하기] ② ‘나’는 ‘물건’의 정체가 무엇이기에 노인이 그토록 열심히 찾고 있는 것인지, ‘물건’의 정체와 노인이 ‘물건’을 찾는 태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고 싶어 한 다. ③ ‘나’는 ‘무엇이 노인에게 저토록 소중하게 여겨진단 말인가.’라며, 노인이 ‘물건’을 가치 있는 대상으로 여기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④ ‘나’는 자신이 ‘모든 사 물’로부터 차단된 상태라고 느끼는 것과 관련된 자신 안의 긴장에 대해 누군가에게 말하려 애써 보았지만 누구도 자신을 이해하지 못했다고 말하고 있다. ⑤ ‘나’는 ‘모 든 사물’로부터 차단되었다고 느끼고 있으며, 이는 주변의 모든 사물로부터 소외된 상 태라고도 할 수 있다. 노인은 ‘물건’을 열심히 찾고 있는 상황이므로 이는 무언가를 상실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25. 외적 준거에 따른 작품 감상

정답 해설 : <보기>는 이 작품이 시각을 통해 긴장 상태에서의 극대화된 감각 체험을 보여 주는 한편, 현실에 대한 체념을 드러내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과거 ‘나’가 한병장과 함께 차를 타고 가는 상황에서 방향 감각을 잃은 나방이 떼들이 차 창에 부딪혀 죽는 것을 목격하는 것은 ‘나’의 감각이 어둠 속의 모든 사물들에 대해 극도의 미세한 것까지도 정밀하게 느끼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현실에 대한 ‘나’의 체념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정답 ④

 

[오답 피하기] ① ‘나’는 집에 돌아온 자신이 아직도 집 안의 상황을 ‘전선’이라고 느 끼고 있는 것에 대해 ‘내 몸에 밴 전쟁 냄새’ 때문이라며 후각을 활용하여 말하고 있 다. ② ‘나’는 자신을 둘러싼 일상생활의 다양한 소리에 대해 ‘밖’은 ‘무의미하고 태평스 럽’다고 느끼고 있는데, 이를 통해 ‘나’는 전선에서 돌아온 자신이 아직도 타인과 다 른 현실 인식을 지니고 있음을 의식하고 있다. ③ 한병장과 한밤중에 차를 타고 이동 하는 상황에서 ‘나’는 헤드라이트의 반경 속 ‘돌’, ‘벌레’ 등이 ‘심장에 맞닿아 있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이는 전장의 긴장감 속에서 ‘나’의 감각이 극대화되어 있는 상 황을 보여 주는 것이다. ⑤ ‘나’는 노인의 행위가 자신의 예상과 달리 진행되는 것을 보면서 당황한다. 이런 당황스러움은 노인과 관련한 ‘나’의 현실 인식이 빗나간 데에 서 비롯되며, ‘방 안을 오락가락’하는 ‘나’의 행동을 통해 제시되고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