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①
태조 이성계가 왕실의 정통성을 확립하고 효를 실천하기 위해 짓기 시작한 공간이라는 것과, 1995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는 것을 통해 (가) 문화유산이 종묘임을 알 수 있다.
정답
① 종묘에는 역대 국왕과 왕비의 신주가 모셔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선의 태조(재위: 1392~1398)는 교통과 국 방의 중심지인 한양으로 도읍을 옮긴 후 (1394), 각종 공사가 잇따라 시행되어 수도 로서의 면모를 갖추었다. 조정과 시장 또한 비슷한 시기에 건설되었 다. 4대문과 4소문을 포함한 성곽은 궁궐과 종묘가 완공된 이후에 건설되었다. 가장 먼저 서쪽에 토지와 곡식의 신에게 제 사를 지내는 사직단(社稷壇)을 완공하고, 정 궁인 경복궁(1395)을 세운 뒤, 그 동쪽에 역 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봉안하고 제사를 드 리는 종묘(宗廟)가 완성되었다(1995년 유네 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오답
① 향교, ③ 선농단, ④사직단, ⑤ 경복궁과 관련된 설명이다. ② 성균관이나 사학·향교 등의 관학 기관은 문묘(공자를 모시는 곳) 및 중국·조선의 선철 (先哲)·선현(先賢)을 제사하는 동무(東廡)·서 무(西廡)가 소재한 대성전(大成殿) 영역과 명 륜당(강당) 및 학생들이 기숙하는 동재(東齋: 양반)·서재(西齋:평민)가 있는 명륜당(明倫堂) 영역으로 크게 나누어질 수 있다. ③ 선농단(先農壇): 농경과 관련된 신인 신농 씨와 후직씨에게 임금이 풍년을 기원하며 제 사를 드리는 곳이다. ⑤ 일제는 총독부 청사로 본래 1907년 건립 된 남산 왜성대의 통감부 청사를 계승해 쓰 다가, 1926년 경복궁의 일부를 헐어내고 새 로 지었다. 해방 후 한국정부의 청사(중앙청) 로 사용되어 오다가 1995년 김영삼 정권 때 에 철거되며 국립중앙박물관이 들어섰다(국 립중앙박물관도 현재 용산으로 이전)
22. ③
임꺽정의 난이 일어났다는 것을 통해 밑줄 그은 왕이 명종임을 알 수 있다.
정답
③ 명종 때는 외척 사이의 권력 다툼으로 을사사화가 발생하였다.
오답
① 효종, ② 세종, ④ 경종, ⑤ 선조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이다.
23. ①
선조가 1593년 임진왜란으로 파천하여 의주에 있을 때 내린 교서이다.
정답
① 이순신이 명량에서 왜의 수군을 대파하였다(1597).
오답
②, ③, ⑤는 임진왜란 일어나기 이전의 사실이다. ④는 정유재란 이후인 광해군 때의 사실이다.
24. ④
여전의 법을 시행, 여장을 둔다는 것을 통해 다음 주장을 펼친 인물이 정약용임을 알 수 있다.
정답
④ 정약용은 경세유표를 저술하여 국가 제도의 개혁 방향을 제시하였다.
오답
① 홍대용, ② 이제마, ③ 유수원, ⑤ 박제가와 관련된 설명이다.
25. ③
군포를 기존의 절반인 1필로 줄이는 법은 균역법이다.
정답
③ ㄴ. 균역법 시행으로 감소한 세입을 보충하기 위해 어염세, 선박세를 국가 재정으로 귀속시켰다.
ㄷ. 균역법 시행으로 감소한 세입을 보충하기 위해 선무군관에게 1년에 1필의 군포를 징수하였다.
오답
ㄱ. 광무개혁 때 근대적인 토지 소유권을 확립하기 위해 양전 사업을 실시하여 지계를 발급하였다.
ㄹ. 세조 때 직전법을 실시하여 수신전, 휼양전 등의 명목으로 세습되는 토지를 폐지하였다.
'한능검 > 한능검 41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41회 고급_31~35_정답 및 해설 (0) | 2021.02.03 |
---|---|
한능검 41회 고급_26~30_정답 및 해설 (0) | 2021.02.03 |
한능검 41회 고급_16~20_정답 및 해설 (0) | 2021.02.03 |
한능검 41회 고급_11~15_정답 및 해설 (0) | 2021.02.03 |
한능검 41회 고급_6~10_정답 및 해설 (0) | 2021.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