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국어 기출/21학년도 수능 국어

수능 국어 21학년도_36~40_정답 및 해설

bluecolor 2021. 2. 7. 18:48
728x90

36. 생략된 내용 추론

정답 해설 : 다수의 코어가 작동하더라도 데이터의 연산을 하나씩 순서대로 처리해야 한다면, 이전 코어의 연산 이후에 다른 코어에서 다음 연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 므로 이러한 경우의 총 연산 시간은 단일 코어에서 데이터 연산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때 걸리는 총 연산 시간과 같다. 정답 ④

 

[오답 피하기] ①, ② 4문단에서 GPU는 동일한 연산을 여러 번 수행할 경우, 한 번의 연산에 쓰이는 데이터들을 순차적으로 각 코어에 전송한 후 전체 코어에 하나의 연산 명령어를 전달해 각 코어가 모든 데이터를 동시에 연산하도록 하기 때문에 연산 시간 이 짧아진다고 언급하고 있다. ③ 4문단에서 GPU의 각 코어는 그래픽 연산에 특화된 연산만을 할 수 있고 CPU의 코어에 비해 저속으로 연산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그러 므로 GPU와 CPU가 각각 1개의 코어에서 1개의 동일한 연산을 할 경우, CPU의 연 산 시간이 더 짧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⑤ 4문단에 따르면 GPU의 데이터 처리 속도 가 빠른 것은 한 번의 연산에 쓰이는 데이터들을 순차적으로 각 코어에 전송한 후, 동시에 모든 데이터를 연산하기 때문이다. GPU는 한 번의 연산에 쓰이는 데이터들을 순차적으로 각 코어에 전송한다고 하였으므로 10개의 데이터를 10개의 코어에 전송 하는 시간은 1개의 데이터를 1개의 코어에 전송하는 시간보다 길다.

 

37. 구체적 사례 적용

정답 해설 : 장면 3은 풍선과 ‘네모’가 함께 하늘로 날아올라 특정한 관찰 시점으로부 터 점점 멀어지면서 작게 보이는 장면을 구상한 것이다. 3문단에 따르면 이러한 원근 감은 모델링이 아닌 렌더링 단계에서 구현되는 것이다. 2문단에 따르면 모델링 단계 에서는 물체의 모양과 크기, 공간적인 위치, 표면 특성 등과 관련된 고유의 값을 설 정하거나 수정하는데, 장면 3은 풍선이 그 자체의 크기에 변화 없이 ‘모양을 유지한 채’ 하늘로 날아올라 가는 장면이므로, 모델링 단계에서 풍선에 있는 정점들이 이루는 삼각형들이 작아질 것이라는 이해는 적절하지 않다. 정답 ④

 

[오답 피하기] ① 3문단의 내용을 통해 렌더링은 관찰 시점을 기준으로 2차원의 화면 을 생성하는 것이라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장면 1에서 관찰 시점상 풍 선에 가려 보이지 않는 입 부분의 삼각형은 2차원의 화면에 생성되지 않는 부분이므 로 해당 부분의 표면 특성이 화솟값을 구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② 2문단에서 모 23 델링 단계에서의 정점의 개수는 물체가 변형되어도 변하지 않는다고 언급하였다. 따 라서 장면 2가 풍선의 크기가 점점 커지는 장면이라고 해도 풍선에 있는 정점의 개수 는 유지됨을 알 수 있다. ③ 2문단에서 모델링에서는 물체가 커지거나 작아지면 정점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진다고 언급하고 있다. 장면 2에서는 풍선이 점점 커 지고 있으므로 정점 사이의 간격이 넓어질 것임을 알 수 있다. ⑤ 3문단에서 화소는 전체 화면을 잘게 나눈 점으로, 정해진 개수의 화소로 화면을 표시하고 각 화소별로 밝기나 색상 등을 나타내는 화솟값이 부여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렌더링 단계에서 장 면 3이 나타난 전체 화면의 화소 개수 자체에는 변화가 없으며, 장면을 구현하는 과 정에서 일부 화소의 화솟값만 변화할 것임을 알 수 있다.

 

[38~42] 문학 [38-42] 복합세트 - (가) 정철, ‘사미인곡’ / (나) 신흠, ‘창 밧긔’ / 유본학, ‘옛집 정 승초당을 둘러보고 쓰다’

(가) 지문 해설 : 이 작품은 정철이 고향 창평에 은거하고 있을 때 지은 가사로, 여성 화자가 이별한 임을 그리워하는 마음에 빗대어 임금을 향한 자신의 충절과 연군의 정 을 고백한 작품이다. ‘서사-본사-결사’의 3단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본사는 다시 ‘봄- 여름-가을-겨울’의 계절의 흐름에 따라 전개되고 있다. 서사에서는 광한전에서 임과 함께 지내던 화자가 하계로 내려온 상황을 그려 임금과 떨어져 있는 자신의 상황을 드러낸다. 본사에서는 봄의 매화를 보며 임에게 보내고 싶은 마음을, 긴 여름날 임에 게 보낼 옷을 짓는 정성스러운 마음을, 가을 맑은 달을 보며 임에게 청광을 보내고 싶은 마음을, 추운 겨울날 임을 염려하며 따뜻한 볕을 보내고 싶은 마음을 그리고 있 다. 결사에서는 차라리 죽어서라도 임과 함께 있고 싶은 마음을 드러내면서 임에 대 한 변함없는 연정을 보여 주고 있다. ‘정과정’을 잇는 충신연주지사의 대표적인 작품 이다. [주제] 임에 대한 변함없는 사랑과 그리움, 연군지정

 

(나) 지문 해설 : 이 작품은 임이 부재하는 상황에서 임이 오기를 간절히 바라는 화자 의 마음을 음성상징어와 ‘착각-진실’의 구조를 통해 효과적으로 드러낸 시조이다. 창 밖에서 들리는 소리를 임이 오신 소리로 착각하여 살펴보지만, 낙엽 지는 소리임을 깨닫고 애달파하는 화자의 마음이 나타나 있다. [주제] 임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

 

(다) 지문 해설 : 이 작품은 예전에 살던 집의 당호를 소재로, ‘고요함’에 대한 생각을 피력하면서 마음의 고요함을 추구하고자 하는 삶의 자세를 드러내는 글이다. 소란스 러움과 더위라는 외적인 번잡함에서 벗어나고자 했던 당시의 태도를 떠올리면서 필자 24 는 옛집에서 지녔던 뜻을 잊지 않고 되새기고자 하고 있다. [주제] 마음의 고요함을 추구하는 삶 38. 시어, 시구의 의미 파악

 

정답 해설 : (가)에서 화자는 베개 머리맡을 비추는 달을 보며 임을 떠올리고 있다. 임과 동일시되는 대상인 달을 보며 ‘님이신가 아니신가’라고 독백하는 것을 통해 홀로 지내는 긴 시간 동안 화자가 임을 간절히 그리워하였음을 알 수 있다. (나)에서 화자 는 창밖에서 들리는 소리를 ‘님이신가’ 착각하고 일어나 살피고 있다. 낙엽 날리는 작 은 소리에도 혹시 임일까 여기는 간절한 마음을 독백적 어조를 통해 드러낸 것이다. 따라서 (가), (나)의 ‘님이신가’라는 어구는 임이 부재한 상황에서 임을 만나고 싶은 간절함을 독백적 어조로 드러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정답 ⑤

 

[오답 피하기] ① (가)의 ‘노여’는 ‘전혀’의 의미로, 임에 대한 자신의 마음과 사랑을 비교할 대상이 전혀 없음을 말하고 있다. 즉, 임에 대한 자신의 마음은 어디에 비할 바 없는 절대적인 것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나)의 ‘다’는 임을 기다리는 간절함으로 인해 간장이 ‘모두’ 끊어질 것 같음을 강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의 ‘노여’와 (나)의 ‘다’가 임에 대한 원망의 정서를 강조한다는 설명은 적절하지 않다. ② (가)의 ‘고 야’는 세월의 흐름에 대한 화자의 인식을, (나)의 ‘노라’는 임에 대한 화자의 간절한 기다림을 드러내고자 사용되었다. 이들을 화자의 의지를 단정적인 종결형으로 나타낸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③ (가)의 ‘화’는 화자가 임에게 보내고 싶은 것으로, 자신의 변치 않는 마음을 상징하는 소재이다. ‘님이 너 보고’를 통해 화자와 동일시되는 자 연물을 의인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나)에서 ‘혜란’이 의인화된 부분은 확인 할 수 없다. ④ (가)의 ‘므 일고’는 아직 차가운 날씨임에도 피어난 매화에 대한 감 동을 드러내고 있지만, (나)의 ‘므스 일고’는 자신의 기대와는 다른 상황에 대한 낙담 을 드러낸 것이므로 반가움을 영탄적 어조로 표현한 것이라는 설명은 적절하지 않다.

 

39. 외적 준거에 따른 작품 감상

정답 해설 : ‘염냥’이 ‘가  고텨’ 온다는 인식은 유한한 인생에서 임과 떨어져 지 내는 시간이 지속되고 있으며 그 시간의 흐름이 속절없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언제 임을 만날 수 있을지 모르는 상황에서, 임과 단절된 채 흐르는 지상의 물리적 시간이 유한한 화자의 인생에 비해 빨리 흐르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지상의 물리적 시간 이 심리적으로 지연되어 나타난다는 내용은 적절하지 않다. 정답 ⑤

 

[오답 피하기] ① <보기>에 따르면 천상의 시간적 질서에서는 끝없는 사랑이 지속되 므로, 임과의 ‘연분’을 ‘하’과 연결 짓는 것은 임과의 사랑이 끝없이 이어지기는 바 25 라는 마음이 반영된 것이라는 내용은 적절하다. ② '졈어 잇고'라는 시구는 화자가 ' 광한뎐'에서 임과 행복한 시간을 보내던 과거의 한때, 즉 '천상의 시간'에 해당하는 것이다. 반면 '늙거야'라는 시구는 화자가 임과 헤어져 '하계'에서 외로이 지내고 있는 현재, 즉 '지상의 시간'에 해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졈어 잇고'와 '늙거야'를 통해 화 자가 천상의 시간에서 벗어나 지상의 시간으로 편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는 설명은 적 절하다. ③ <보기>를 통해 화자가 지상의 물리적 시간을 심리적으로 변형하여 자신의 심경을 드러냄을 알 수 있다. 화자가 임과 함께 광한전에서 지내던 때를 ‘엇그제’로 표현한 것은 임과 함께한 기억이 너무도 선명히 남아 있어 ‘삼 년’이라는 지상의 물 리적인 시간을 심리적으로 압축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④ <보기>를 통해 천상의 시 간적 질서와는 다른 지상의 시간적 질서가 화자를 힘겹게 함을 알 수 있다. ‘인은 유’과 ‘무심 셰월’은 유한한 지상의 시간적 질서에 따른 화자의 불안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40. 외적 준거에 따른 작품 감상

정답 해설 : (다)에서 ‘누군가’가 ‘고요함이 이긴다’는 당호를 ‘군더더기’로 본다는 것 은 필자가 집을 지으려는 곳이 소리나 움직임이 없이 잠잠한 외적 고요의 공간인 ‘임 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적 고요만으로는 삶에서 느끼는 불편이나 슬픔을 이겨 내 기 어렵다고 여겼기 때문이라는 내용은 적절하지 않다. 정답 ⑤

 

[오답 피하기] ① 외부의 낙엽 소리가 들린다는 것은 화자가 소리나 움직임이 없이 잠잠한 상태, 즉 외적 고요의 상태에 있음을 의미한다. ② 낙엽 소리를 임이 오는 소 리로 착각했다는 것은 화자가 간절하게 임을 기다리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으로, 마 음이 평온한 상태에 있지 못함을 의미한다. ③ <보기>에 따르면 (다)의 필자는 내적 고요를 추구함으로써 삶에서 느끼는 슬픔을 이겨 내는 동력을 얻고 있다. (다)에서 ‘사물에 닿을 때마다 슬픔만 더’한다는 것은 옛집을 돌아본 경험으로 인해 필자가 내 적 고요를 이루기 어려움을 드러내는 것이다. ④ ‘임원’이라는 공간 자체가 외적 고요 를 드러내는데, 필자는 이에 당호를 더함으로써 내적 고요까지 추구하려 하고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