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국어 기출/21학년도 수능 국어

수능 국어 21학년도_11~15_정답 및 해설

bluecolor 2021. 2. 7. 16:31
728x90

지문 해설 : 이 글에서는 먼저 현재와 다른 신조어였던 ‘원어기, 소졋메쥬’라는 사례 를 통해 대상의 인식 방식에 따라 대상을 표현하는 단어가 달라지기도 하였음을 설명 하고 있다. 또한, ‘총각, 부대찌개’를 통해 단어 속에 과거의 관습과 시대의 흔적이 남 아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끝으로, ‘두길보기, 산돌이’의 사례를 통해 예전에도 오늘 날처럼 다양한 방식으로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생각을 표현하였음을 설명하고 있다. [주제] 단어에 담긴 인식과 시대상 및 단어의 다양한 구성 방식

 

11. 단어의 구성 요소

정답 해설 : ‘새해맞이’의 ‘새해’는 관형사 ‘새’가 후행 명사 ‘해’를 수식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새해맞이’는 ‘새해를 맞이하는 일’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므로 단어의 구성 요소들이 의미상 목적어와 서술어의 관계를 이룬다. 한편 ‘한몫하다’의 ‘한몫’은 관형사 ‘한’이 후행 명사 ‘몫’을 수식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한몫하다’는 ‘한몫을 하 다’라는 의미를 나타내므로 단어의 구성 요소들이 의미상 목적어와 서술어의 관계를 이룬다. 정답 ④

 

[오답 피하기] ‘두말없이’의 ‘두말’은 관형사 ‘두’가 후행 명사 ‘말’을 수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지만, ‘두말없이’는 ‘두말이 없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므로 단어의 구성 요소들이 의미상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를 이룬다. ‘숨은그림찾기’는 ‘숨은그림을 찾다’라는 의미 를 나타내므로 단어의 구성 요소들이 의미상 목적어와 서술어의 관계를 이루지만, ‘숨 은그림찾기’의 ‘숨은그림’에서는 관형사가 아닌 동사 어간 ‘숨-’에 어미 ‘-은’이 결합 한 형태의 ‘숨은’이 후행 명사 ‘그림’을 수식한다

 

12. 단어의 의미 형성

정답 해설 : ‘수세미’는 그릇을 닦을 때 쓰이기도 하던 특정 식물을 지칭하는 기존의 의미에 오늘날에는 공장에서 만들어져 나오는 일반적인 의미의 ‘설거지 도구’라는 새 로운 의미가 더해진 사례이다. 그러나 ‘총각’은 ‘머리를 땋아 갈라서 틀어 맴’이라는 기존의 의미가 사라지고 오늘날에는 그 의미가 ‘결혼하지 않은 성년 남자’로 변화된 사례이다. 정답 ③

 

[오답 피하기] ① 일상의 단어였던 ‘메주’를 사용하여 ‘치즈’를 ‘소졋메쥬’로 표현했듯 이, 일상의 단어였던 ‘연지’를 사용하여 ‘립스틱’을 ‘입술연지’로 표현한 것이다. ② ‘총각, 부대찌개’에 과거의 관습과 시대의 흔적이 담겨 있듯이, ‘변사’에도 무성 영화 가 상영되었던 당대의 시대상이 반영되어 있다. ④ ‘원어기-전화기’의 사례처럼 ‘가죽 띠-허리띠’도 대상에 대한 인식이 다를 때 그것을 표현하는 단어가 달라지기도 함을 보여 주는 사례이다. ⑤ ‘양반’은 원래 조선 시대의 특정 신분을 가리키는 말이었다는 점에서 신분 구분이 있었던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다.

 

13. 용언의 활용

정답 해설 : ‘거르- + -어서 → 걸러서’는 ‘르 불규칙 활용’에 해당하지만, ‘푸르- + -어 → 푸르러’는 ‘러 불규칙 활용’에 해당한다. 정답 ②

 

[오답 피하기] ① ‘담그- + -아 → 담가’, ‘예쁘- + -어도 → 예뻐도’는 둘 다 ‘ㅡ 탈락’에 해당한다. ③ ‘갈- + -(으)ㄴ → 간’과 ‘살- + -니 → 사니’는 둘 다 ‘ㄹ 탈락’에 해당한 다. ④ ‘하얗- + -았던 → 하얬던’, ‘동그랗- + -아 → 동그래’는 둘 다 ‘ㅎ 불규칙 활용’ 에 해당한다. ⑤ ‘젓- + -어 → 저어’, ‘긋- + -은 → 그은’은 둘 다 ‘ㅅ 불규칙 활용’에 해당한다.

 

14. 문장의 짜임

정답 해설 : ⓐ는 전성 어미 ‘-는’이 쓰인 관형절의 예로, ‘예보’를 꾸며 주고 있다. 인용절에는 조사 ‘라고, 고’가 쓰인다. 정답 ①

 

[오답 피하기] ② ⓑ는 ‘공원이 많고 거리가 깨끗하-’에 전성 어미 ‘-(으)ㄴ’이 결합하 여 관형절로 쓰이고 있다. ③ ⓒ는 ‘바람이 거세지고 어둠이 내리-’에 전성 어미 ‘- 기’가 결합하여 명사절로 쓰이고 있다. ④ ⓓ는 전성 어미 ‘-음’이 결합한 명사절이 며, 목적격 조사 ‘을’과 결합하여 주성분인 목적어로 쓰이고 있다. ⑤ ⓔ는 전성 어미 ‘-는’이 결합한 관형절이다. 조사와의 결합 없이, ‘들판’을 수식하는 부속 성분인 관형 어로 쓰이고 있다.

 

15. 중세 국어의 음운

정답 해설 : (가)의 ‘불휘라’는 ‘불휘 + ∅라’로 분석되는데, 체언의 끝소리가 반모음 ‘ㅣ’로 끝나는 이중 모음(ㅟ)이기 때문에 ‘∅라’가 결합한 것이다. (나)의 ‘이제라, 아래 라’ 역시 ‘∅라’가 결합한 것으로, 이를 통해 ‘ㅔ, ㅐ’가 반모음 ‘ㅣ’로 끝나는 이중 모 음이었음을 알 수 있다. 정답 ③

 

[오답 피하기] ① ‘지비라’는 ‘집+이라’로 체언의 끝소리가 자음일 때에 ‘이라’가 결합 한 사례이다. ② ‘라’는 ‘+∅라’로 체언의 끝소리가 단모음 ‘이’일 때에 ‘∅라’ 가 결합한 사례이다. ④ ‘젼라’는 ‘젼+ㅣ라’로 체언의 끝소리가 ‘그 밖의 모음’에 해당하는 ‘ㆍ’일 때에 ‘ㅣ라’가 결합한 사례이다. ⑤ ‘곡되라’는 ‘곡도+ㅣ라’로 체언의 끝소리가 ‘그 밖의 모음’에 해당하는 ‘ㅗ’일 때에 ‘ㅣ라’가 결합한 사례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