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능검/한능검49회

한능검 49회 심화 26~30_해설 및 정답

bluecolor 2021. 1. 24. 11:10
728x90

26 – 다산 정약용

정답> ④

왼쪽 말풍선에 '수원 화성 건설을 위해 설계한 거중기에 대해 설 명해 달라'는 내용이 나와 있다. 오른쪽 말풍선에는 '공사에 참여 한 백성의 어려움을 덜어주고자 기기도설에 실린 도르래의 원리 를 활용하였다. 전하께서는 거중기의 사용으로 4만 냥의 비용을 절약했다고 말씀하셨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이를 통해 제시된 가상 인터뷰의 주인공은 다산 정약용(1762~1836)임을 알 수 있 다. 정약용은 마과회통에서 홍역에 대한 의학 지식을 정리하였다 (1798, 정조 22). 오답 해설> ① 북학의에서 절약보다 소비를 권장한 인물은 초정 박제가 (1750~1805)이다(1778, 정조 2). ② 의산문답에서 중국 중심의 세계관을 비판한 인물은 담헌 홍대 용(1731~1783)이다(1766, 영조 42). ③ 우서에서 사농공상의 직업적 평등을 주장한 인물은 농암 유수 원(1694~1755)이다(1729~1737 집필 추정). ⑤ 금석과안록에서 북한산비가 진흥왕 순수비임을 고증한 인물은 추사 김정희(1786~1856)이다(1852, 철종 3).

 

27 – 청화 백자

정답> ④

'국보 제258호인 이 자기는 회회청 또는 토청 등의 코발트 안료 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것이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이어 '이러한 종류의 자기는 조선 전기부터 생산되었고, 후기에 널리 보급되었 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코발트 안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졌다''는 점과 '조선 후기에 널리 보급되었다'는 부분을 통해 제시된 '(가)' 는 청화 백자를 가리키는 것임을 알 수 있다(17세기 이후 널리 생산되고 보급됨). ④ 청화 백자 죽문 각병이다(백자 청화죽문 각병).

오답 해설>

① 분청사기 조화어문 편병이다(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 ②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이다. 고려 시대 청동 정병의 전형적인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고려) 자기가 아니라 은입사 기 술이 적용된 금속 공예품이다. * 정병(淨甁) : 본래 깨끗한 물을 담는 수병[물병]으로 승려의 필 수품인 18물(物)의 하나이던 것이 차츰 부처님 앞에 정수를 바치 는 공양구(供養具)로서 그 용도의 폭이 넓어졌다. ③ 상감 청자 운학문 매병이다. 12세기 중엽 개발되기 시작한 고 려의 독창적인 상감 기법이 적용된 대표적인 상감 청자이다. ⑤ 청자 참외형 병이다(청자 참외 모양 병). 상감 청자가 개발되 기 직전의 고려청자이다(순수 청자).

 

28 – 홍경래의 난

정답> ①

'이것은 평안도 지역에 대한 차별 등에 반발하여 일어난 (가) 을/ 를 진압하기 위해 관군이 정주성을 에워싸고 있는 상황을 그린 그림이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이어 '이후 관군은 땅굴을 파고 성벽을 폭파하는 전술로 봉기군을 진압하였다'는 내용이 나와 있 다. 그리고 '정주성공격도'가 나와 있는 바 이를 통해 제시된 ' (가) 사건'은 조선 순조 11년인 1811년 평안도에서 발생한 홍경 래의 난임을 알 수 있다. 홍경래의 난은 홍경래(1771~1812), 우군칙(1776~1812) 등이 주 도하였다.

오답 해설>

② 흥선 대원군이 다시 집권하는 결과를 가져온 사건은 임오군란 이다(1882, 고종 19). ③ 정부가 청군의 출병을 요청하는 계기가 된 사건 역시 임오군 란이다(동학 농민 운동 때도 출병 요청, 갑신정변 때는 출병이 아 니라 주둔해 있던 청군이 진압). ④ 사건 수습을 위해 박규수가 안핵사로 파견된 사건은 진주[임 술] 농민 봉기이다(1862, 철종 13). ⑤ (동학 농민군이) 폐정 개혁안 실천을 위해 집강소 설치를 요구 한 사건은 동학 농민 운동 때이다(1894, 고종 31). 참고로 전봉준 과 전라도 관찰사 김학진 사이에 집강소 설치 합의가 이루어진 것은 1884년 7월 6일이다

 

29 – 신미양요

정답> ③

'의정부에서 아뢰기를, 서양 오랑캐가 광성진을 침범하였을 때 진 무 중군 어재연의 생사는 자세히 알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지방 수령이 대신할 진무 중군을 임명해 달라고 이미 청한 것을 보면 절개를 지켜 싸우다 전사한 것 같습니다라고 하였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광성진을 침범한 미군에 맞서 싸우다 전사한 진무 중 군 어재연(1823~1871)에 대한 내용이므로 곧 신미양요에 대한 것 임을 알 수 있다(1871.5). 제시된 연표에서는 (다) 시기에 해당함 을 알 수 있다.

 

30 – 도원 김홍집

정답> ①

'○○○ 연보'라는 제목하에 '1842년에 출생'하였으며, '1880년에 일본에 수신사로 파견되었다'는 점이 나와 있다. 이어 '1884년에 좌의정으로 임명되었'으며, 1894년에 총리대신으로 갑오개혁을 주도한' 점이 나와 있다. 마지막으로 '1896년에 사망'한 점이 나 와 있는 바 이를 통해 제시된 인물은 도원 김홍집(1842~1896)임 을 알 수 있다. 김홍집은 제2차 수신사로 일본에 파견되었을 때 귀국하면서 황준 헌이 쓴 조선책략을 국내에 들여와 고종에게 바쳤다(1880.9).

오답 해설>

② 초대 주미 공사로 임명되어 미국에 파견된 인물은 죽천 박정 양(1841~1904)이다(1888.1). ③ 고종의 밀지를 받아 독립 의군부를 조직한 인물은 임병찬 (1851~1916)이다(1912.9). ④ 영국인 베델과 함께 대한매일신보를 창간한 인물은 양기탁 (1871~1938)이다(1904.7). ⑤ 서유견문을 집필하여 서양 근대 문명을 소개한 인물은 구당 유길준(1856~1914)이다(1889년 탈고, 1895년 출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