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조선 전기] 과전법과 관수 관급제 제정 사이 시기의 사실 정답 ⑤
(가) 과전을 주는 법을 정하자는 것과, 과전을 받았다는 내용을 통해 과전법임을 알 수 있다.
(나) 진전의 세는 관에서 거두어 관에서 주면이라는 내용을 통해 관수 관급제임을 알 수 있다.
정답
⑤ 과전법(공양왕, 1391): 고려 말 권문세족의 대토지 소유와 토지 겸병으로 국가 재정이 부족해지자, 신진사대부들은 이성계의 위화 도 회군 직후 정권을 장악하고 조준 등의 주 도 하에 공양왕 3년(1391)에 과전법을 실시 하였다. 과전법은 권문세족의 토지를 몰수하 여 신진관료에게 재분배한 것으로 이후 조선 초기의 근본 토지제도가 되었다. 경기에 한 하여 전·현직 관료에게 18등급에 따라 수조 권을 부여하였다(1/10). 원칙적으로는 세습 이 허용되지 않았으나 공신전과 수신전·휼양 전 등 일부 세습화 경향이 나타났다.
관수관급제(성종, 1470): 과전법 하에서 수조 권을 받은 자는 스스로 그 해의 생산량을 조 사하여, 과전법의 경우에는 10분의 1을 농민 에게 세금으로 거두었다. 이 과정에서 수조 권을 가진 양반 관료가 이를 남용하여 과다 하게 수취하는 일이 잦았다. 이를 시정하기 위하여 성종 때 지방 관청에서 그 해의 생산 량을 조사하여 거두고, 관리에게 나누어 주 는 방식으로 바꾸었다(관청의 수조권 대행).
오답 개념 체크
① 신라 성덕왕 때에 백성에게 정전(실제로 토지를 분급한 것이 아니라 농민들이 본래부 터 소유해온 토지에 대하여 국가가 공식적으 로 한시적이고 제한적인 소유권을 인정해주 고 조세.공납.역을 수취케 한 토지)을 지급하 였다(722).
② 대한제국의 광무개혁(1897~1904) 때에 양지아문(1898)을 설치하여 양전사업을 하 며, 지계아문(1901)을 설치하여 근대적 토지 소유 문건인 지계를 발급하였다.
③ 고려는 문무 관리로부터 군인, 한인에 이 르기까지 18등급으로 나누어 곡물을 수취할 수 있는 전지와 땔감을 얻을 수 있는 시지를 주는 전시과(田柴科) 제도를 마련하였다.
④ 고려 태조 때에 개국 공신과 군인들의 논 공행상 일환으로 인품, 행실, 공로를 기준으 로 역분전을 차등 지급하였다(940).
22 [조선 전기 성종의 업적 정답 ③
국조오례의를 편찬하였다는 것을 통해 조선 전기 성종임을 알 수 있다.
정답
③ 성종은 세조 때부터 편찬을 시작한 조선의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을 완성하고 반포하였다.
오답 개념 체크
① 광해군(조선 후기): 경기도에 한하여 대동법을 실시한 왕은 조선 후기 광해군이다.
② 세종(조선 전기): 학문 연구 기관인 집현전을 궁궐 내에 설치한 왕은 조선 전기 세종이다.
④ 태종(조선 전기): 문하부 낭사를 분리하여 사간원으로 독립시킨 왕은 조선 전기 태종이다.
⑤ 중종(조선 전기): 일종의 천거제인 현량과를 실시하여 신진 사림을 등용한 왕은 조선 전기 중종이다.
23 [조선 전기] 퇴계 이황 정답 ③
호가 퇴계라는 것을 통해 퇴계 이황임을 알 수 있다.
정답
③ 퇴계 이황은 군주의 도를 도식으로 설명한 『성학십도』를 지었다.
오답 개념 체크
① 정제두: 양명학을 연구하여 강화 학파를 형성한 인물은 정제두이다.
② 송시열: 명에 대한 의리를 내세워 『기축봉사』를 올린 인물은 송시열이다.
④ 이이: 다양한 개혁 방안을 제시한 『동호문답』을 저술한 인물은 이이이다.
⑤ 정도전: 재상 중심의 정치를 강조한 『조선경국전』을 편찬한 인물은 정도전이다.
24 [조선 후기] 훈련도감 정답 ②
왜군에 맞서기 위해 포수, 사수, 살수 등 삼수병으로 구성되었다는 것을 통해 훈련도감임을 알 수 있다.
정답
② 훈련도감은 임진왜란 중에 설치된 것으로 급료를 받는 상비군이 주축을 이루었다.
오답 개념 체크
① 삼별초: 고려 최씨 무신 정권의 군사적 기반이었던 부대는 삼별초이다.
③ 주진군: 고려 시대에 국경 지역인 북계와 동계에 배치되었던 부대는 주진군이다.
④ 이종무의 지휘 아래 대마도 정벌에 참여하였던 부대는 훈련도감이 아니다.
⑤ 장용영: 국왕의 친위 부대로 수원 화성에 외영을 두었던 부대는 장용영이다.
25 [조선 후기] 병자호란 정답 ⑤
한성 가까운 곳에 방어할 만한 땅은 남한산성만 한 데가 없다는 것을 통해 병자호란임을 알 수 있다.
정답
⑤ 청 태종의 침입에 인조는 남한산성으로 피란하여 항전하였으나, 청군을 막을 수 없었던 인조는 삼전도에서 항복하였다. 이후 청의 요구에 따라 삼전도비가 건립되었다.
오답 개념 체크
① 삼별초는 고려 몽골의 침입 때 강화도에서 개경으로 환도를 결정한 고려 정부와 달리 진도와 제주도에서 끝까지 대몽 항쟁을 전개하였다.
② 통신사는 일본의 에도 막부가 조선에 요청한 사절단으로, 조선의 선진 문물을 일본에 전파는 역할을 하였다.
③ 위화도 회군의 결과 이성계는 권력을 장악하고, 혁명파 사대부와 함께 조선을 건국하였다.
④ 계해약조는 조선 전기 세종 때 일본과 체결한 조약으로 3포를 개방한 뒤 교역량이 지나치게 증가하자 무역 규모를 제한하기 위한 조치였다.
'한능검 > 한능검43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43회 심화_31~35_정답 및 해설 (0) | 2021.02.01 |
---|---|
한능검 43회 심화_26~30_정답 및 해설 (0) | 2021.02.01 |
한능검 43회 심화_16~20_정답 및 해설 (0) | 2021.02.01 |
한능검 43회 심화_11~15_정답 및 해설 (0) | 2021.02.01 |
한능검 43회 심화_6~10_정답 및 해설 (0) | 2021.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