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한능검/한능검 41회 10

한능검 41회 고급_46~50_정답 및 해설

46 ② 육군 군대가 영구히 일지구에 주둔하여 경비와 육군의 질서 및 군기를 감시하며, 위수 사령관이 비상 사태에 제하여 병력 청구를 받았을 때 육군 총참모장의 승인을 얻어 응할 수 있다는 내용의 법령은 위수령으로, 이승만 정부 시기인 1950년 3월에 제정되었다. 정답 ② 이승만 정부 시기에는 3∙15 부정 선거에 항거하는 4∙19 혁명이 전국 각지에서 전개되었다. 위수령(衛戍令)은 이승만 정부 시절인 1950 년 3월 육군 부대 경비를 위해 대통령령으로 제정돼 군부대가 자기 보호를 위해 외부 침 입을 막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법령이다. 또한 재해나 비상사태 시에도 서울시장·광역 시장·도지사 등의 지자체장의 병력 청구시 군부대가 주둔지 밖으로 출동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계엄령과는 다르게 국회의 ..

한능검 41회 고급_41~45_정답 및 해설

41 ③ 다음 성명서는 1929년에 발생한 원산 노동자 총파업 때 발표된 것이다. 정답 ③ 1931년에 평양 소재 고무공장의 노동자였던 강주룡은 을밀대 지붕에서 고공 농성을 전개하였다. 1920년대 일본 자본의 유입과 한국인 기업 이 늘어나면서 노동자 수가 증가하였지만, 노동자들은 저임금과 장시간 노동과 같은 가 혹한 노동 조건에 시달렸다. 노동자의 반 이 상이 12시간 이상의 노동을 하였으며, 영양 실조와 폐결핵 등 각종 산업 재해에 시달렸 다. 또한 임금에 있어서도 한국인은 같은 직 종에 종사하는 일본인의 절반 정도만 받을 정도로 민족 차별을 받았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1920년 지식인과 노동 자들이 중심이 되어 조선 노동 공제회를 결 성하였다. 조선 노동 공제회는 사회주의자들 이 참여하면서 노동자..

한능검 41회 고급_36~40_정답 및 해설

36 ② 정답 ②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내각 책임제와 국무령제가 포함된 제2차 개헌을 실시한 것은 1925년의 일이다. 1919년 4월 상해에서 출범한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임시헌장에서 의정원(입법부) 규정과 공화정 체제를 명시하였고 이후 임정 헌법의 기본틀이 되었다. 1919년 9월, 연해주의 대한국민의회와 서울 의 한성정부를 통합하여 상하이에 통합 대한 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하고, 1차 개헌으로 의 정원, 국무원, 법원의 3권 분립 체제와 대통 령제를 갖추었다(초대 대통령 이승만). 그러나 임정의 외교 활동이 번번히 좌절되는 가운데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의 국제연맹 위 임통치 요청 문제가 계기가 되어 임시 정부 는 내분에 빠져들었다. 임정의 방향 전환을 논의하기 위한 국민대표회의(1923)가 열렸 으나 ..

한능검 41회 고급_31~35_정답 및 해설

31 ① (가) 병인양요(1866), (나) 흥선 대원군의 척화비 건립(1871)에 대한 설명이다. 정답 ① 독일 상인 오페르트가 조선에 통상 수교를 거부당하자, 흥선 대원군의 아버지인 남원군의 묘 도굴을 시도하였다(오페르트 도굴 사건, 1868). 흥선 대원군은 처음 천주교에 비교적 관대하 여 러시아의 남하를 막기 위해 천주교 선교 사를 통하여 프랑스 세력을 끌어들이고자 하 였다. 그러나 성과를 거두지 못하자 흥선 대 원군은 유생들의 강력한 요구에 따라 1866 년부터 6년 동안 천주교에 대한 대대적인 탄 압을 가하였다(병인박해). 이로 인해 9명의 프랑스 선교사가 처형당하자, 프랑스는 이를 구실로 1866년 9월 조선을 무력으로 침략하 였다(병인양요). 프랑스군은 군함 7척에 수병 600여 명을 승 ..

한능검 41회 고급_26~30_정답 및 해설

26 ⑤ 조선 시대에 에도 막부와 교류를 위해 파견된 사절단은 조선 통신사이다. 조선 통신사 관련 기록물은 2017년 유네스코 세계 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정답 ⑤ 비변사는 19세기 초까지 파견되어 일본에 문화를 전파하는 등 문화 교류의 역할을 하였다. 임진왜란으로 침략을 받은 조선은 일본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하였다. 그러나 일본의 에 도 막부는, 경제적인 어려움을 해결하고 선 진 문물을 받아들이기 위하여 쓰시마섬 도주 를 통하여 조선에 국교를 재개하자고 요청해 왔다. 조선은 막부의 사정을 알아보고 전쟁 때 잡혀간 사람들을 데려오기 위하여 유정 (사명대사)을 파견하여 일본과 강화하고 조 선인 포로 7000여 명을 데려왔다(1607). 곧 이어 일본과 기유약조를 맺어 동래부의 부산 포에 다시 왜관을 설치하..

한능검 41회 고급_21~25_정답 및 해설

21. ① 태조 이성계가 왕실의 정통성을 확립하고 효를 실천하기 위해 짓기 시작한 공간이라는 것과, 1995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는 것을 통해 (가) 문화유산이 종묘임을 알 수 있다. 정답 ① 종묘에는 역대 국왕과 왕비의 신주가 모셔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선의 태조(재위: 1392~1398)는 교통과 국 방의 중심지인 한양으로 도읍을 옮긴 후 (1394), 각종 공사가 잇따라 시행되어 수도 로서의 면모를 갖추었다. 조정과 시장 또한 비슷한 시기에 건설되었 다. 4대문과 4소문을 포함한 성곽은 궁궐과 종묘가 완공된 이후에 건설되었다. 가장 먼저 서쪽에 토지와 곡식의 신에게 제 사를 지내는 사직단(社稷壇)을 완공하고, 정 궁인 경복궁(1395)을 세운 뒤, 그 동쪽에 역 대 왕과 왕비의 ..

한능검 41회 고급_16~20_정답 및 해설

16. ④ 정답 (가)는 고려 시대의 과걱 제도, (나)는 음서 제도와 관련된 설명임을 알 수 있다. 고려의 관리는 크게 과거와 음서를 통하여 등용되었다. 고려 광종 때에 중국 후주의 귀화인 쌍기의 건의 건의에 의해 실시된 과거 제도(958)는 문과인 제술업, 명경업과 잡과로 나뉜다. 제술업(진사과)은 문학적 재능과 정책 등을 시험하고, 명경업(생원과)은 유교 경전에 대 한 이해 능력을 시험하여 문신을 뽑았다. 명경, 제술업은 초기에는 중앙관리의 자제인 국자감생과 지방출신인 향공이 직접 본과거 에 응할 수 있었으나, 점차 규정이 정비되어 중기에는 예비시험인 국자감시(국자감 입학 시험)를 거쳐 본시험인 예부시를 치르도록 법제화 되었다. ㉠ 조선의 과거 응시 자격은 천인을 제외하 고는 특별한 제한이 없었으나..

한능검 41회 고급_11~15_정답 및 해설

11. ③ 정답 ③ 일어난 순서대로 제시하면 (나) 고려 건국(918) – (가) 공산 전투(927) – (라) 견훤이 왕건에 항복 – (다) 일리천 전투(936)가 된다. 상주 출신의의 견훤은 전라도 지방의 군사력 과 호족 세력을 토대로 완산주(전주)에 도읍 을 정하고 후백제를 세웠다(900). 신라 왕족의 후예인 궁예는 처음에는 북원 (원주) 지방의 양길 휘하의 도적 집단에서 성장하여 세력이 커지자 독립하여 송악(개 성)에 도읍을 정하고 후고구려를 세웠다 (901). 그 후 궁예는 영토를 확장하고 국가 기반을 다져, 도읍을 철원으로 옮기면서 국호를 마 진로 바꾸었다가(904), 다시 태봉으로 바꾸 며(911) 황제국의 면모와 새로운 정치를 추구하였다. 그러나 궁예는 계속되는 전쟁을 치르려고 지 나치게..

한능검 41회 고급_6~10_정답 및 해설

6. ③ 정답 ③ 백제 정림사지 5층 석탑은 백제의 대표적인 석탑이다. (가) 부소산성: 백제의 마지막 수도인 사비를 수호하는 중심 산성으로 주위의 보조 산성인 청산성·청마산성과 함께 도성을 방어하는 구 실을 했으며, 평시에는 왕과 귀족들이 아름 다운 경관을 즐기는 비원으로 활용했을 것으 로 보인다. (나) 관북리 유적: 왕궁지가 있는 곳으로 동 서 25m, 폭 9∼10m의 교차하는 도로가 있 다. ‘前部’銘의 표석이 출토되어 백제 수도 오방제와 관련된 條坊制 구조를 보여준다. 또한 공방시설이 있어 기와와 도기 등을 왕 실, 관청 등에 공급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 정림사지: 국보 9호인 5층 석탑이 소재 하고 있다. 이 탑은 미륵사지 석탑(국보 11 호)과 함께 7세기 백제 시대의 대표적 석탑 이..

한능검 41회 고급_1~5_정답 및 해설

1. ④ 민무늬 토기, 반달 돌칼 등을 사용한 시대는 청동기 시대이다. 정답 ④ 청동기 시대에는 많은 인력을 동원하여 고인돌을 축조하였다. 청동기 시대의 농업은 조, 보리, 콩, 수수 등 밭농사가 중심이었지만, 일부 저습지에서는 벼농사를 지었고 생산력은 크게 향상되었다. 생산력의 증가에 따라 인구가 늘고 잉여 생 산물이 생기자, 힘이 강한 자가 이것을 개인 적으로 소유하였다. 생산물의 분배와 사유화 때문에 사람들 사이에 갈등이 생기고, 빈부 의 격차와 계급의 분화를 촉진하였으며 국가 의 성립까지 이어졌다(군장국가). 이러한 계 급의 분화는 죽은 뒤에까지도 영향을 끼쳐 무덤의 크기와 껴묻거리의 내용에 반영되었 고,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형태인 고 인돌은 많은 인원을 동원시킬 수 있는 계급 이 존재함..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