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능검/한능검48회

한능검 48회 11~15_심화_정답 및 해설

bluecolor 2021. 1. 25. 19:44
728x90

11 – 삼별초

정답> ①

'이 지도는 개경 환도 결정에 반발하여 봉기한 (가)의 이동 경로 를 나타낸 것입니다. 강화도와 진도에서는 배중손, 제주도에서는 김통정을 중심으로 항쟁하였습니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이를 통 해 제시된 '(가) 군사 조직'은 고려의 삼별초임을 알 수 있다. 삼 별초는 고려 원종 11년인 1270년 개경으로의 환도령이 내려지자 이에 반발하여 봉기하였다. 삼별초는 최씨 무신 정권의 군사적 기반이었다. 최우(집권 1219-1249)에 의해 만들어진 좌별초, 우별초와 최항 집권기 (1249-1257)인 1254년(고종 41) 이후에 만들어진 신의군으로 조 직되었다(1232~1273).

오답 해설>

②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여 창설된 군사 조직은 광군이다(947, 고려 정종 2). ③ 신기군, 신보군, 항마군으로 구성된 군사 조직은 별무반이다 (1104, 고려 숙종 9). ④ 유사시에 향토 방위를 맡는 예비군이었던 군사 조직은 조선의 잡색군이다(조선 세종 대에 정비). 서리, 잡학인, 신량역천인, 노 비 등으로 구성되었다. ⑤ 옷깃 색을 기준으로 9개의 부대로 편성된 군사 조직은 신라의 9서당이다. 녹금서당·자금서당·비금서당은 신라인, 황금서당은 고 구려인, 백금서당·청금서당은 백제인, 적금서당·벽금서당은 보덕 국인[보덕성민(報德城民)], 흑금서당은 말갈인으로 구성되었다.

 

12 – 고려의 관학 진흥책

정답> ②

'고려 시대의 교육'이라는 제목하에 '제1강 관학의 정비', '제2강 사학의 융성', '제3강 관학 진흥책'이 나와 있다. 이어 관학 진행 책으로는 '국자감에 서적포를 설치하다'와 '(가)'가 제시되어 있 다. 서적포(書籍鋪)는 일종의 출판 기관으로, 숙종 5년인 1101년 에 설치되었다. 전문 강좌인 7재가 개설된 것은 예종 4년인 1109년의 일이다.

오답 해설>

① 당에 유학생을 파견한 것은 신라 때의 일이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최초의 (견당) 유학생을 파견한 것은 선덕 여왕 9년인 640년의 일이다. 신라 후기에는 6두품 이하의 자제들이 당에 유 학하였고, 그곳에서 과거를 보아 급제하는 경우가 많았다. 유학 기간은 10년 정도였으며, 기간이 차면 귀국하였다. 유학하는 학 생 수가 많을 때에는 무려 100여 명에 달하였다. ③ 사액 서원에 서적과 노비를 지급한 것은 조선 명종 5년인 1550년부터의 일이다. 중종 38년인 1543년에 세워진 백운동 서 원(풍기 군수 주세붕)이 최초의 사액 서원이 되었다. ④ 글과 활쏘기를 가르치는 경당이 설립된 것은 고구려 장수왕 15년인 427년의 일이다. 장수왕이 평양 천도를 단행한 직후 지방 에 세운 교육 기관이다. ⑤ 관리 채용을 위해 독서삼품과가 시행된 것은 (통일) 신라 원성 왕 4년인 788년의 일이다.

 

13 – 금과의 사대[군신] 관계

정답> ③

'바야흐로 금이 번성하여 우리 왕조로 하여금 신하를 칭하게 하 고자 하였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이어 '중론이 뒤섞여 어지러웠 는데, 공이 홀로 간쟁하기를, ······ 여진은 본래 우리 왕조 사람의 자손이었습니다. 그래서 신하가 되어 천자를 조회하였고 국경 부 근의 사람들은 모두 우리 왕조의 호적에 속한 지가 오래되었습니 다. 어찌 우리 왕조가 도리어 신하가 될 수 있습니까라고 하였다' 는 내용이 나와 있다. 마지막으로 '당시에 권신(權臣)이 왕명을 멋대로 하였으므로 이에 신하를 칭하고 이로 인해 서표(誓表)를 올렸다. 진실로 인종의 본심이 아니었으니 공이 심히 부끄럽고 슬프게 여겼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이를 통해 제시된 사료 속 상황은 금의 군신 관계 요구에 당시 권신인 이자겸(?~1126)의 굴 욕 외교로 인하여 고려가 이를 받아들인 것을 가리킨다(1126, 고 려 인종 4). 금은 고려의 이와 같은 '칭신상표(稱臣上表)'의 글을 받고는 앞으로 사신의 왕래에 관한 모든 의례(儀禮)는 요와의 구 제(舊制)에 따르도록 한다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참고로 출처가 윤언이 묘지명으로 되어 있는 바 윤언이(?~1149)는 바로 별무반 을 이끌고 여진을 정벌한 후 동북 9성을 설치한 윤관(?~1111)의 아들이다. 연표에서 제시된 상황이 나타난 시기는 별무반 설치(1104)와 무 신 정변(1170) 사이인 (다) 시기에 해당한다.

 

14 – 도병마사

정답> ③

개요에 '고려의 회의 기구로 중서문하성과 중추원의 고위 관료들 이 모여 주로 국방과 군사 문제를 다루었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이어 '대내적인 법제와 격식을 관장하는 식목도감과 함께 합의제 로 운영되었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또 관련 사료로 '판사(判事) 는 시중·평장사·참지정사·정당문학·지문하성사로 임명하였으며, 사 (使)는 6추밀 및 직사 3품 이상으로 임명하였다. ······ 무릇 국가 에 큰 일이 있으면 사(使) 이상의 관료가 모여서 의논하였으므로 합좌라는 이름이 있었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이를 통해 제시된 '(가) 기구'는 도병마사임을 알 수 있다. 도병마사는 원 간섭기에 도평의사사로 개편되었다(1279, 충렬왕 5).

오답 해설>

① 수도의 치안과 행정을 담당한 기구는 조선의 한성부이다. ② 사헌부, 사간원과 함께 3사로 불린 기구는 조선의 홍문관이다 (1478, 성종 9). 경연을 주관하였으며, 옥당(玉堂)이라고도 불렀 다. ④ 화폐와 곡식의 출납 회계를 담당한 (고려의) 기구는 삼사(三 司)이다. ⑤ 관리 임명에 대한 서경권(署經權)을 가지고 있었던 기구는 대 간(臺諫)이다. 중서문하성의 낭사(낭관, 3품 이하)와 감찰 기관인 어사대의 관원이 대간을 이루어 언론 역할을 하였다.

 

15 – 대각국사 의천

정답> ⑤

말풍선에는 '이것은 경상북도 칠곡군 선봉사에 있는 비석이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이어 '문종의 아들인 그가 국청사를 중심으로 천태종을 개창한 행적이 기록되어 있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이 를 통해 제시된 '그'는 대각국사 의천(1055~1101)임을 알 수 있 다. 사진 속 비석은 말풍선에서 제시된 대로 '칠곡 선봉사 대각국 사비'이다(보물 제251호) 의천은 천태종의 통합 이론으로 이론 연마와 수행을 함께 강조하 는 교관겸수를 제시하였다.

오답 해설>

① 보현십원가를 지어 불교 교리를 전파한 '그'는 균여(923~973) 이다(광종 대인 963년과 967년 사이에 지음) ② 불교 개혁을 주장하며 수선사 결사를 조직한 '그'는 보조국사 지눌(1158~1210)이다(1190, 고려 명종 20). ③ 선문염송집을 편찬하고 유불 일치설을 주장한 '그'는 진각국사 혜심(1178~1234)이다(1226, 고려 고종 13). 혜심은 지눌의 제자 이자 지눌을 이어 조계종의 2세(世)가 되었다. ④ 불교 관련 설화를 중심으로 삼국유사를 저술한 '그'는 보각국 사 일연(1206~1289)이다(1281, 고려 충렬왕 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