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 노비안검법 실시
정답> ③
왼쪽 말풍선에는 '훈요 10조를 지어 후세에 전하노니, 밤낮으로 펼쳐보아 영구히 귀감으로 삼도록 하라'는 말이 나와 있다. 고려 태조 25년인 942년의 일이다. 오른쪽 말풍선에는 '신 최승로, 시 무 28조를 작성하여 장계와 함께 따로 봉하여 올립니다'는 말이 나와 있다. 고려 성종 원년인 982년의 일이다. 노비안검법이 실시된 것은 고려 광종 7년인 956년의 일이다.
오답 해설>
① 정방이 (최우에 의해) 설치된 것은 고려 고종 12년인 1225년 의 일이다. ② 별무반이 (윤관에 의해) 편성된 것은 고려 숙종 9년인 1104년 의 일이다. ④ 독서삼품과가 시행된 것은 신라 원성왕 4년인 788년의 일이 다. ⑤ 정동행성 이문소가 폐지된 것은 고려 공민왕 5년인 1356년의 일이다. 참고로 정동행성 이문소의 폐지는 사실상 정동행성의 폐지와 같은 의미로 볼 수 있다.
12 – 고려 시대의 경제 모습
정답> ①
'벽란정은 예성항 연안에 있으며, 개경에서 30리 떨어져 있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이어 '사신의 배가 연안에 닿으면 군사들이 금 고(金鼓)*를 울리며 조서를 맞아 인도하여 벽란정에 들어간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이를 통해 제시된 상황은 고려 시대의 대표적 인 국제 무역항인 벽란도(예성강 하구)와 관련된 것임을 알 수 있 다. *금고: 고려와 조선 시대에, 군(軍)에서 호령하는 데 사용하던 징과 북 활구라고 불리는 은병이 유통되기 시작한 것은 고려 숙종 6년인 1101년부터의 일이다.
오답 해설>
② 인삼, 담배가 상품 작물로 재배된 것은 조선 후기의 일이다. ③ 내상, 만상 등이 무역을 통해 부를 축적한 것 역시 조선 후기 의 일이다. ④ 덕대가 물주에게 자금을 받아 광산을 경영한 것도 조선 후기 의 일이다. ⑤ 공납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해 대동법이 시행된 것도 조선 후 기이다(1608~1708).
13 – 동국이상국집(이규보)
정답> ④
오른쪽 말풍선에 '이 책은 이규보의 문집으로 전집 41권, 후집 12권으로 구성되었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이어 '시, 가전체 소 설 등 다양한 작품이 실려 있어 그의 문학 세계와 역사의식을 살 펴볼 수 있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이를 통해 제시된 '이 책'은 고려의 문신 이규보(1168~1241)의 시문집인 『동국이상국집』임을 알 수 있다. 『동국이상국집』에는 고구려의 건국 서사시인 동명왕편이 실려 있 다.
오답 해설>
① 신라와 발해를 남북국으로 (처음으로) 지칭한 책은 영재 유득 공(1748~1809)의 『발해고』이다(1784, 조선 정조 8). ② 단군을 우리 역사의 기원으로 기록한 책은 일연(1206~1289)의 『삼국유사』이다(1281, 충렬왕 7). ③ 연대순으로 기록하는 편년체로 서술된 대표적인 책은 『조선왕 조실록』과 『고려사절요』를 들 수 있다. ⑤ 중국과 우리나라의 역대 왕의 계보가 수록된 책은 이승휴 (1224~1300)의 『제왕운기』이다(1287, 충렬왕 13).
14 – 서경 천도 운동
정답> ③
왼쪽 말풍선에는 '서경 임원역의 지세는 음양가들이 말하는 대화 세(大華勢)에 해당하니 이곳에 궁궐을 세우고 옮겨 가면 천하를 아우르게 된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이어 오른쪽 말풍선에는 '짐 이 서경에 행차하여 지세를 살펴 보도록 하겠다'는 말이 나와 있 다. 이를 통해 제시된 '상황'은 묘청(?~1135)의 서경 천도 운동과 관련된 것임을 알 수 있다[당시의 왕은 고려의 제17대 왕인 인종 (재위 1122-1146)]. 연표에서는 이자겸의 난(1126)과 무신 정변(1170) 사이인 (다) 시 기에 해당한다.
15 – 논산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정답> ①
'고려 초기에 제작된 (가)에 대해 알려' 달라는 말이 나와 있다. 이어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사에 있는 불상으로 '은진 미륵'이라 고 불리기도 한다'는 말이 나와 있다. 또 '불상에서 발견된 기록 을 통해 고려 광종 때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졌다'는 말이 나와 있다. 마지막으로 '파격적이고 대범한 미적 감각을 담고 있다고 인정받아 2018년에 국보 제323호로 승격되었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이를 통해 제시된 '(가)에 해당하는 문화유산은 논산 관 촉사 석조[은진] 미륵보살 입상임을 알 수 있다.
오답 해설>
② 경주 팔공산의 관봉 석조여래 좌상이다. 통일 신라의 불상으 로, 머리 위에 갓 모양의 모자가 얹혀 있어 이른바 '갓바위 불상' 이라고도 불린다. ③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 입상이다. ④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 삼존상으로, 백제의 불상이다. '백제의 미소'로 불린다. ⑤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 입상이다. 천연암벽을 적절히 활용하여 불신(佛身)을 표현하였다. 불두(佛頭)는 따로 만들어 얹었다. 왼쪽 의 마애불은 둥근 갓을 쓰고 왼손을 어깨높이로, 오른손은 가슴 높이로 들어 연꽃 줄기를 붙잡고 있다(미륵으로 추정). 오른쪽의 마애불에서는 네모난 갓을 쓰고 합장하고 있다. 옷자락의 흐름이 바위와 절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한능검 > 한능검47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47회 26~30_심화_정답 및 해설 (0) | 2021.01.27 |
---|---|
한능검 47회 21~25_심화_정답 및 해설 (0) | 2021.01.27 |
한능검 47회 16~20_심화_정답 및 해설 (0) | 2021.01.27 |
한능검 47회 6~10_심화_정답 및 해설 (0) | 2021.01.27 |
한능검 47회 1~5_심화_정답 및 해설 (0) | 2021.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