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 점필재 김종직
정답> ③
'조선 시대에 활동했던 문신 겸 학자로 영남 학파의 종조(宗祖)로 불리며 호는 점필재'라는 내용이 나와 있다. 이어 '그의 학통을 이은 사람으로 정여창, 김굉필, 김일손 등이 있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또 사진 자료로 예림 서원(경남 밀양 소재)과 추원재가 나 와 있다. 이를 통해 제시된 인물은 점필재 김종직(1431~1492)임 을 알 수 있다. 김종직은 (연산군 4년인 1498년에 발생한) 무오사화의 발단이 된 조의제문을 작성하였다.
오답 해설>
① 갑술환국이 일어난 것은 숙종 20년인 1694년의 일이다. 남인 이 축출되고 서인이 다시 권력을 장악하였다. ② 반정 공신의 위훈 삭제를 주장한 인물은 정암 조광조 (1482~1519)이다. ④ 색경을 저술하여 농업 기술 발전에 이바지한 인물은 서계 박 세당(1629~1703)이다(1676, 숙종 2). ⑤ 양명학을 연구하여 강화 학파 형성의 기초를 마련한 인물은 하곡 정제두(1649~1736)이다.
22 – 기술직 중인
정답> ⑤
왼쪽 말풍선에는 '허생전에 나오는 변 부자가 조선 시대 역관 변 승업의 할아버지를 모델로 하고 있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중간 의 말풍선에는 '변승업이 사역원 소속의 일본어 역관으로 큰 부 자가 된 인물이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오른쪽 말풍선에는 '변승 업과 같은 역관들이 속한 신분을 (가)라고 하는데, 여기에는 의 관, 천문관, 율관 등도 포함되었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이를 통 해 제시된 (가)는 중인, 그중에서도 (서얼이 아닌) 기술직 중인을 가리키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기술직 중인은 조선 후기에 이르러 시사(詩社)를 조직해 위항 문 학 활동을 하였다. 위항 문학이란 조선 후기 한성을 중심으로 중 인들과 평민들에 의해 이루어진 문학 양식을 일컫는 말로 여항 문학이라고도 한다.
오답 해설>
① 소속 관청에 신공(身貢)을 바친 신분은 공노비이다. ② 매매, 상속, 증여의 대상이 된 신분은 노비, 그중에서도 사노 비이다. ③ 원칙적으로 과거에 응시할 수 없었던 신분은 천인이다(노비도 천인에 속함, 천인이 상위 개념). ④ 장례원(掌隸院)을 통해 국가의 관리를 받은 신분은 노비이다.
23 – 제1차 왕자의 난
정답> ②
'정도전, 남은, 심효생 등이 여러 왕자를 해치려 꾀하다가 성공하 지 못하고 참형을 당하였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이어 '정안군이 도당(都堂)으로 하여금 소를 올리게 하였는데, 후계자를 세울 때 에 장자로 하는 것이 만세의 상도(常道)인데, 전하께서 장자를 버 리고 어린 아들을 세웠으며, 정도전 등이 세자를 감싸고서 여러 왕자를 해치고자 하여 난신(亂臣)이 참형을 당하였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여기서 '정안군'은 곧 태종 이방원으로, 제시된 자료 는 결국 1398년 8월에 왕위 계승을 둘러싸고 발생한 제1차 왕자 의 난을 가리킴을 알 수 있다. 제1차 왕자의 난은 일명 방원의 난 또는 무인정사, 정도전의 난이라고도 부른다. 참고로 자료 말 미의 '적장자 영안군'은 이방원의 둘째형인 방과(정종)이다.
24 – 임진왜란(한산도 대첩)
정답> ①
왼쪽 자료에는 '임진년(1592)에 왕이 세자에게 평안북도 강계로 가서 혼란한 정국을 안정시키고 수습하라고 하였다'는 내용이 나 와 있다. 이어 '왕은 의주로 행하였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임진 왜란 초인 1592년 6월의 일이다[광해군 분조(分朝) 발족]. 오른쪽 자료에는 '계사년(1593)에 조·명 연합군이 평양성을 탈환했다는 소식이 분조(分朝)에 들려왔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조·명 연합군 이 평양성을 탈환한 것은 1593년 1월의 일이다. 이순신이 한산도 대첩에서 승리한 것은 1592년 7월의 일이다.
오답 해설>
② 정발이 부산진성 전투에서 전사한 것은 1592년 4월의 일이다. ③ 휴전 회담의 결렬로 정유재란이 시작된 것은 1597년 1월의 일이다. ④ 명의 요청으로 강홍립의 부대가 파견된 것은 광해군 10년인 1618년의 일이다. ⑤ 정봉수와 이립이 의병을 이끌고 활약한 것은 정묘호란 때의 일이다(1627, 인조 5).
25 – 보은 법주사 팔상전
정답> ⑤
'국보 제55호인 (가)은 현존하는 유일의 조선 시대 목탑'이라는 내용이 나와 있다. 이어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졌는데, 인조 때 다시 조성된 것'이라는 내용이 나와 있다. 마지막으로 제시된 '가 람 배치도'에는 석련지(국보 제64호)와 쌍사자 석등(국보 제5호) 이 나와 있다. 이를 통해 제시된 (가)는 17세기의 건축물인 보은 법주사 팔상전임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석련지(石蓮池)란 '돌로 만든 연꽃 모양 연못'이라는 뜻이다.
오답 해설>
①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은 조선 중기인 17세기의 건축물이다. ② (김제) 금산사 미륵전도 17세기의 건축물이다. ③ (구례) 화엄사 각황전 역시 17세기의 건축물이다. ④ (부여) 무량사 극락전은 17~18세기의 건축물이다.
'한능검 > 한능검45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45회 심화_31~35_정답 및 해설 (0) | 2021.01.29 |
---|---|
한능검 45회 심화_26~30_정답 및 해설 (0) | 2021.01.29 |
한능검 45회 심화_16~20_정답 및 해설 (0) | 2021.01.29 |
한능검 45회 심화_11~15_정답 및 해설 (0) | 2021.01.29 |
한능검 45회 심화_6~10_정답 및 해설 (0) | 2021.01.29 |